원주원씨 소개

About Wonju Won's clan

성의 유래

  • H
  • 처음으로
  • 원주원씨 소개
  • 성의 유래

성(姓)의 근원(根源)

성(姓)은 혈족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이것이 언제부터 발생하였는 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 원시사회는 혈연을 기초로 하여 모여 사는 집단체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사람은 처음에 모(母)만 확실히 알 수 있고 부(父)는 알수 없는것 이 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이른바 母系社會가 나타났다가 뒤에 父系社會로 전환되었거니와, 조상이 같은 사람들이 집단 을 이루고 모여 살았던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원시사회를 씨족사회라고 하는 것이다.
  • 씨족사회는 자기 조상을 숭배하고 동족끼리 서로 사랑하고 씨족의 명예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리고 각 씨족은 다른 씨족과 구별하기 위하여 각기 명칭이 있었을 것이며, 그 명칭은 문자를 사용한 뒤에 성(姓)으로 표현하였다.
  • 동양에 있어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었으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명(地名)이나 산명(山名),강명(江名)으로 성을 삼았다.
  •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었으므로 성을 강씨(姜氏)라 하고,
  • 황제의 어머니가 신수(申水)에 살았으므로 성을 신씨(申氏)라 하였으며,
  • 순(舜)임금의 어머니가 요허(姚虛)에 있었으므로 성을 요씨(姚氏)라 한 것은 이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성(姓)의 由來

우리나라의 성(姓)은 모두 한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중국문화를 수입한 뒤에 사용한 것임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삼국사기] [삼국유사]등 우리나라 옛 사헌에 의하면,

  • 고구려는 시조 주몽이 건국하여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기때문에 고씨(高氏)라 하고, 주몽은 그 신하 재사(再思)에서 극씨(克氏), 무골(武骨)에게 중실씨(仲室氏), 연거(연居)에게 소실씨(小室氏)의 姓(성)을 賜姓(사성)하였다 한다.
  • 백제는 시조 온조(溫祚)가 부여 계통에서 나왔다하여 성(姓)을 부여씨(扶餘氏)라 하였다.
  • 신라는 박(朴)·석(昔)·김(金) 3성의 전설이 있고,제3대 유리왕때에 6부(六村)에 사성하여 량부(알천양산촌)에 이씨,소작부:(돌산고허촌) 에 최씨-崔氏(유사에는정씨-鄭氏), 점량부(무산대수촌)에 손씨, 본피부(취산진지촌)에 정씨(유사에는 최씨), 한지부(금산가리촌)에 배씨, 지북부(명활산고랑촌)에 설씨의 성을 주었다고 하며,
  • 김관가랑의 시조 수로왕도 황금알에서 탄생하였다하여 성(姓)을 김씨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이와같이 삼국은 고대부족국가 시대부터 성을 쓴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이것은 모두 중국문화를 수입한 뒤에 지어낸 것이다. 그리고
  • 우리나라는 성보다 본을 먼저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고구려는 장수왕 시대(419~491)부터 ⇒ (전37년-668년)
    • 백제는 근초고왕 시대(346~376)부터 ⇒ (전18-660년)
    • 진흥왕시대(540~576)부터 ⇒(전57-935년) 성(姓)을 쓴 듯하다.
  • 고구려는 장수왕 이전에 성을 쓴 사람이 많이 보이는 것을 보면, 고구려는 장수왕 이전에 이미 성을 쓴 듯하나, 어느 때부터 성을 쓰기 시작하였는지 그것은 확실히 알 수 없는 것이다.

요컨대 우리나라가 중국식 한자 성을 쓰기 시작한 것은 중국문화를 수입한 이후의 일로서,

  • 고구려는 그 사용 연대를 확실히규정할 수 없으나, 대개 장수왕 시대부터 중국에 보낸 국서(국國書)에 고(高)씨의 성(姓)을 썼으며,

    고구려 : 을(乙), 예(禮), 송(松), 우(于), 주(周), 마(馬), 손(孫), 동(董), 예(芮), 연(淵), 명림(明臨), 을지(乙支)등 10여종

  • 백제는 근초고왕때부터 여(餘)씨라 하였다가 무왕(서기600년)때부터 부여씨(扶餘氏)라 하였음

    백제 : 사(沙), 연(燕), 해(解), 진(眞), 국(國), 목(木), 묘(苗)의 8족과 왕(王), 장(張), 사마(司馬), 수미(首彌), 흑치(黑齒) 등 10여종

  • 신라는 진흥왕시대부터 김성(金姓)을 사용하였다.그러나 국민 전체가 성을 쓴 것은 아니었다.
  • 먼저 왕실에서 사용하고
  • 다음에 귀족 관료층에서 사용하였는데 [삼국사기]와 [당서(唐書)] 이전의 중국 정사(正史 )에 기록되어 있는 삼국(三國)의 성을 보면 왕실의 성을 쓴 사람이 가장 많이 나타나 있다.
  • 고구려는 고씨(高氏)
  • 백제는 여씨(餘氏)
  • 신라는 김씨(金氏)의 성(姓)을 가진 사람이 가장 많고, 그 밖에

    신라 : 박(朴), 석(昔), 김(金) 3성과 6부의 이(李), 최(崔), 정(鄭), 손(孫), 배(裵), 설(薛)의 6성 및 장(張), 요(姚) 등 10여종에 불과하다.

  • 신라의 경우, 진흥왕순수비에 성을 쓴 사람이 하나도 없고, 또 [삼국사기]에도 姓을 쓴 사람보다 쓰지 아니한 사람이 더 많은 것을 보면 귀족·관료들도 다 성을 쓴 것은 아니었다.

주로 중국에 왕래한 사람, - 예를 들면

  • 김인문(金仁問), 김정종(金貞宗), 박우(朴祐), 김지량(金志良),김 의충(金義忠), 등과같이 사신이 되어 당(唐)나라에 갔다온 사람,
  • 최치원(崔致遠)·최리정(崔利貞)·박계업(朴季業)·김숙정(金叔貞) 등과 같이 당나라에 유학한 사람,
  • 장보고(張保皐)와 같이 당나라에 갔다가 돌아와 청해진 대사가 되어 동야의 제해권(制解權)을 잡고 당나라와 일본에 무역을 한 사람들이 성을 사용하였으며,
  • 일반 민중은 신라 말기까지 성을 쓰지 아니하였다

신라 말기후 삼국의 대동란을 당하여 평민으로서 각지에서 일어난

  • 상주(尙州)의 원종(元宗)·애노(哀奴),
  • 죽주(竹州)-죽산(竹山)의 기명(箕蓂),
  • 북원(原州)의 량길(梁吉)-良吉,
  • 태봉왕 궁예(弓裔)의 부장인 홍언(弘彦) 명귀(明貴),
  • 후백제왕견명(甄蓂)의 부장인 관흔(官昕).상귀(相貴)상달(尙達)웅환(熊奐),
  • 고려 태조의 부장인 홍술(弘述)·백옥(白玉)·삼웅산(三熊山)·복사귀(卜沙貴)등은 모두 성(姓)을 쓰지 아니하였다.
  • 이중에 고려 태조의 부장인
    • 홍술(弘述)⇒개국공신 홍유(洪儒)
    • 백옥(白玉)⇒개국공신배현경(裵玄慶)
    • 삼웅산(三熊山)⇒개국공신신숭겸(申崇謙)
    • 복사귀(卜沙貴)⇒개국공신 복지겸(卜智謙)의 초명으로서 각각 부계홍 씨(缶溪洪氏)

경주배씨(慶州裵氏)·호산신씨(乎山申氏)·목천복씨(목川卜氏)등의 시조가 되는데, 그들이 홍유(洪儒)·배현경(裵玄慶) ·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으로 개명한 것은 고려 건국 후 그들이 귀하게 된 뒤의 일이며, 아마 태조로부터 사성되었을 것이다. 고려 태조는사성( 賜姓)한 예가 많이 있다. 지금의 강릉지방을 관장하고 있던

  • 명주장군(溟州將軍)순식(順式)이 귀순하자 태조는 왕(王)씨의 姓을 주고
  • 발해태자(渤海太子)대광현(大光顯)이 귀순하자 또한 왕(王)씨의 성을 줌
  • 신라인 김신(金辛)이 태조를 보필하여 권능이 많은 까닭에 권씨(權 氏)의 성을 주어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또 [동국흥지승람(東國興地勝覽)]에 의하면 고려 태조가 개국한 뒤 목천(木川) 사람들이 자주 반란을 일으키므로 태조는 이를 미워하여 짐승에 관한 성씨를 부여하였는데
    • 우(午)·마(馬)·상(象)·돈(豚)· 장(獐)과 같은 짐승의 뜻을 가진 자로 성(姓)을 주었는데, 뒤에
    • 우(午)는 우(于), 상(象)은 상(尙), 돈(豚)은돈(頓), 장(獐)은 장(張)으로 고쳤다는 설이 있다.

이것은 어떻든 고려 초기부터 성을 쓰는 사람이 많이 나타나 귀족, 관료계급은 성(姓)을 쓰지 아니한 사람이 없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 중기 문종(文宗) 9년(1055)에 성을 붙이지 아니한 사람은 과거에 급제할 자격을 주지 아니하는 법령을 내린 것을 보면, 문종시대까지도 성을 쓰지 아니한 사람이 많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종 9년의 이 법령은 실로 우리나라 성의 한 시기를 긋는 것으로서, 이때부터 성이 보편화 되었으나, 노비 등 천인 계급에 이르러서는 조선 초기까지도 성을 쓰지 아니하였다.
이와 같은 점에서 지난날의 성에는 여러가지 존비(尊卑)의 계급이 있었다는 사실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거니와, 성의 문제는 우리 나라에서는 이처럼 특수한 기원(起院) 연혁 (沿革)과 복잡한 조직, 관습이 있는 것을 잘 알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1909면 새로운 민적법(民籍法) 이 시행되면서 어느누구라도 성과 본을 가지도록 법제화가 되면서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성을 취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때를 기회로 성(姓)이 없던 사람에게 본인의 희망에 따라

  • 호적을 담당한 동(洞)서기나 경찰이 마음대로 성(姓)을 지어 주기도 하고
  • 머슴의 경우 자기 주인의 성(姓)과 본관(本貫)을 따르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 명문집안의 성씨를 모방하여 성 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종류가 더욱 늘어났다.

한국성씨(姓氏)

총274성씨 - 외래성씨129성씨 = 145 성씨(한국본토성씨)

외래 귀화 성씨

  • 현재 우리나라 성씨는 270여 개 정도인데, 이중 130여 성씨가 중국에서온 귀화성씨라 한다. 귀화성씨 중에는 덕수장씨, 한양조씨 등 1백만에 가까운 성씨가 있고, 독고(獨孤)씨, 섭(葉)씨, 마(痲)씨 등 1,000명 미만과,
  • 500명도 안되는 풍(馮)씨 초(楚)씨도 있다.
  • 귀화성씨의 유래는 3천여 년 전 기자조선으로까지 소급된다.
  • 고려 때가 60개 로 가장 많다.
  • 신라 때가 40개 성씨가 귀화했고(이때 원씨성의 귀화)
  • 조선조에서는 24개 성씨가 거의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 귀화 기자조선 당시와 일본 귀화성씨까지 합치면 130개 성씨가 넘는다. 특히 고려때에는 아랍, 이란인까지 귀화한 기록이 있다.
  • 고려시대에는 송(宋)나라 사람을 비롯하여 여진(女眞), 거란(契丹), 안남(安南:베트 남), 몽골, 위구르, 아랍 사람들이었다.
  • 조선시대에는 명(明)나라와 일본인 등 많은 외국인이 들이 귀화하였다. 이들이 한국에 귀화하게 된 동기는 대체로 정치망명.표착(着), 종교홍포(宗敎弘布), 투항 (投降), 구원(救援), 상사(商事), 전란 피란, 범법 도피(犯法逃 避), 정략결혼(政略結 婚), 왕실 시종관계(侍從關係) 등 의 예를 들 수 있다.
  • 한국의 외래 귀화 성씨를 크게 나누면 아래와 같다.
    • 중국계
    • 몽골계
    • 여진계
    • 위구르계
    • 아랍계
    • 베트남계
    • 일본계

외래성씨의 수

  • 몽 골 계:124 연안인씨 (印)
  • 여진계:125.청해이씨(淸海李氏)
  • 위구르계:126. 경주설씨(慶州卨氏)
  • 아랍계:127.덕수장씨(德水張氏)
  • 베트남계:128.화산이씨(花山李氏)
  • 일본계:129. 우록 김씨(友鹿 金氏) 사성 김해 김씨(金)
  • 중국계
1. 가씨 賈 27. 남양 갈씨 葛 53. 희산 감씨 甘 79. 신천 강씨 康 105. 곡부 공씨 孔
2. 강씨 强 28. 경씨 景 54. 계씨 桂 80. 곡씨 曲 106. 남씨 南
3. 현풍 곽씨 郭 29. 구씨 具 55. 구씨 丘 81. 영양 김씨 金 107. 노씨 路
4. 남궁씨 南宮 30. 낭씨 浪 56. 노씨 盧 82. 노씨 魯 108. 두씨 杜
5. 강음 단씨 段 31. 당씨 唐 57. 성주 도씨 都 83. 광천 동씨 董 109. 명씨 明
6. 열산 마씨 麻 32. 만씨 萬 58. 매씨 梅 84. 신창 맹씨 孟 110. 방씨 龐
7. 함평 모씨 牟 33. 묵씨 墨 59. 남양 방씨 房 85. 방씨 方 111. 밀양 변씨 卞
8. 수원 백씨 白 34. 금성 범씨 范 60. 범씨 凡 86. 초계 변씨 卞 112. 빙씨 氷
9. 원주 변씨 邊 35. 황주 변씨 邊 61. 면천 복씨 卜 87. 수성 빈씨 賓 113. 보성 선씨 宣
10. 청주 사씨 史 36. 진주 사씨 謝 62. 서문 西門 88. 해주 석씨 石 114. 승씨 昇
11. 섭씨 葉 37. 평산 소씨 邵 63. 진주 소씨 蘇 89. 송씨 宋 115. 광주 안씨 安
12. 성주 시씨 施 38. 거창 신씨 愼 64. 영산 신씨 辛 90. 풍산 심씨 沈 116. 어씨 魚
13. 죽산 안씨 安 39. 태원 안씨 安 65. 청주 양씨 楊 91. 통주 양씨 楊 117. 개성, 제남 王
14. 의령 여씨 余 40. 여씨 呂 66. 곡산 연씨 延 92. 전주 연씨 連 118. 위씨 韋
15. 염씨 廉 41. 오씨 吳 67. 의령 옥씨 玉 93. 전주 연시 連 119. 행주 은씨 殷
16. 휘주 요씨 姚 42. 단양 우씨 禹 68. 원주원씨 元 94. 위씨 魏 120. 남양 제갈씨 諸
17. 유씨 劉 43. 유씨 庾 69. 옥천 육씨 陸 95. 무숑 윤씨 尹 121. 곡산 한씨 韓
18. 교동 인씨 印 44. 파릉 호씨 胡 70. 평택 임씨 林 96. 거창 장씨 章 122. 풍천, 장흥씨 仟
19. 요양 자씨 慈 45. 장씨 張 71. 아산 장씨 藏 97. 문경 전씨 錢 123. 주계, 전주 秋
20. 서산 정씨 鄭 46. 한산 정씨 程 72. 배천 조씨 趙 98. 나주 정씨 丁
21. 임천 조씨 趙 47. 평양 조씨 趙 73. 제주 좌씨 左 99. 흥덕 진씨 陳
22. 상주 주씨 周 48. 신안 주씨 朱 74. 충주 지씨 池 100. 영양 천씨 千
23. 파릉 초씨 楚 49. 제주 초씨 肖 75. 통천 태씨 太 101. 달성 하씨 夏
24. 용강 팽씨 彭 50. 풍덕 포씨 包 76. 임구 풍씨 馮 102. 전주 호씨 扈
25. 강릉 함씨 咸 51. 해씨 海 77. 진주 형씨 邢 103. 회양 후씨 后
26. 남양 홍씨 洪 52. 당홍 황씨 黃 78. 아산 호씨 胡 104. 진주 강씨 姜